계지탕8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若厥愈足溫者는 更作..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제29조 상한 맥부 자한출 소변삭 심번 미오한 각련급에 반여계지탕하야 욕공기표는 차오야라 상한에 맥이 부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소변이 잦고 가슴이 번거로우며 약간 오한이 나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데, 도리어 계지탕을 주어 그 표를 공격하려 하면 이는 잘못이다.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득지변궐 인중건 번조 구역자는 작감초건강탕하야 여지하야 이복기양하고 복용하고서 손발이 싸늘해지고 목구멍이 마르며 번조하고 구토하며 기가 역상하는 경우 감초건강탕을 지어 주어서 양을 회복시킨다. 若厥愈足溫者는 更作芍藥甘草湯하야 與之하면 其脚卽伸이라 약궐유족온자는 갱작작약감초탕하야 여지하면 기각.. 2022. 5. 11. 제24조 太陽病에 初服桂枝湯한대 反煩不解者는 先刺風池風府하고 却與桂枝湯則愈라 제24조 太陽病에 初服桂枝湯한대 反煩不解者는 先刺風池風府하고 却與桂枝湯則愈라 제24조 태양병에 초복계지탕한대 반번불해자는 선자풍지풍부하고 각여계지탕즉유라 태양병에 처음 계지탕을 복용하고 도리어 번(煩)하여 풀리지 않는 경우 먼저 풍지와 풍부에 자침하고 계지탕을 다시 주면 낫는다. 개요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의 병세가 비교적 심할 때는 먼저 침법으로 사기를 설(泄)함. 桂枝湯方(계지탕방) 桂枝三兩去皮 芍藥三兩 甘草炙二兩 生薑三兩切 大棗十二枚擘 右五味를 㕮咀三味하야 以水七升으로 微火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適寒溫하야 服一升이라 服已須臾에 歠熱稀粥一升餘하야 以助藥力하고 溫覆令一時許하야 不可令如水流漓니 病必不除일세니라 若一服에 汗出하야 病差어든 停後服이오 不必盡劑어니와 若不汗이어든 更服호대 依前法이오 又不汗이어든 .. 2022. 5. 11. 제19조 凡服桂枝湯하야 吐者는 其後必吐膿血也라 제19조 凡服桂枝湯하야 吐者는 其後必吐膿血也라 범복게지탕하야 토자는 기후필토농혈야라 무릇 계지탕을 복용하고 토한 경우, 그 후에 반드시 농혈(膿血)을 토하게 된다. 개요 리(裏)에 온열(蘊熱)이 있을 경우 계지탕을 금함. 2022. 5. 10. 제18조 喘家는 作桂枝湯호대 加厚朴杏子이 佳라 제18조 喘家는 作桂枝湯호대 加厚朴杏子이 佳라 천가는 작계지탕호대 가후박행자이 가라 평소 천(喘)이 있는 사람에게 계지탕을 지어줄 때는 후박, 행자를 넣는 것이 좋다. 개요 태양중풍(太陽中風)이 천질(喘疾)을 유발시킬 때의 치법. 2022. 5.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