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론]31 제30조 問曰 證象陽旦하야 按法治之호대 而增劇하야 厥逆 咽中乾 兩脛拘急 而譫語할새 師曰 言夜半에 手足當溫이오 兩脚當伸이라하샤늘 後如師言하니 何以知此니잇고. 제30조 問曰 證象陽旦하야 按法治之호대 而增劇하야 厥逆 咽中乾 兩脛拘急 而譫語할새 師曰 言夜半에 手足當溫이오 兩脚當伸이라하샤늘 後如師言하니 何以知此니잇고. 答曰 寸口脈이 浮而大하니 浮爲風이오 大爲虛라 風則生微熱하고 虛則兩脛攣하나니 病形象桂枝이라 因加附子參其間하니 增桂하야 令汗出하고 附子이 溫經 亡陽故也라 厥逆 咽中乾 하니라 陽明內結하면 譫語煩亂하리니 更飮甘草乾薑湯이오 夜半에 陽氣還하면 兩足當熱하나니 脛常微拘急이어든 重與芍藥甘草湯하면 爾乃脛伸이라 以承氣湯으로 微溏하면 則止其譫語라 故로 知病可愈니라 묻기를, 증이 양단(陽旦)과 비슷하여 원칙대로 치료하였는데 더욱 심해져서, 궐역(厥逆)하고 목구멍이 마르며 양 다리가 오그라들고 땅기며 헛소리를 했습니다. 선생님께서 한밤중이 되면 손발이 따뜻해지고 두 다리가 펴.. 2022. 5. 19.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若厥愈足溫者는 更作..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제29조 상한 맥부 자한출 소변삭 심번 미오한 각련급에 반여계지탕하야 욕공기표는 차오야라 상한에 맥이 부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소변이 잦고 가슴이 번거로우며 약간 오한이 나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데, 도리어 계지탕을 주어 그 표를 공격하려 하면 이는 잘못이다.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득지변궐 인중건 번조 구역자는 작감초건강탕하야 여지하야 이복기양하고 복용하고서 손발이 싸늘해지고 목구멍이 마르며 번조하고 구토하며 기가 역상하는 경우 감초건강탕을 지어 주어서 양을 회복시킨다. 若厥愈足溫者는 更作芍藥甘草湯하야 與之하면 其脚卽伸이라 약궐유족온자는 갱작작약감초탕하야 여지하면 기각.. 2022. 5. 11. 제28조 服桂枝湯하고 或下之한대 仍頭項强痛 翕翕發熱 無汗하고 心下滿微痛 小便不利者는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主之라 제28조 服桂枝湯하고 或下之한대 仍頭項强痛 翕翕發熱 無汗하고 心下滿微痛 小便不利者는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主之라 제28조 복계지탕하고 혹하지한대 잉두항강통 흡흡발열 무한하고 심하만미통 소변불리자는 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주지라 계지탕을 복용하거나 하법(下法)을 쓴 후에 여전히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하고 아프며 후끈후끈 열이 나는데 땀은 없고, 심하(心下)가 그득하면서 약간 아프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계지탕에서 계지를 빼고 복령, 백출을 더한 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개요 수음(水飮)이 조체(阻滯)된 경우에 잘못 한하(汗下)하여 진액(津液)을 손상시켰을 때의 올바른 치법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方(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방) 芍藥三兩 甘草二兩(炙) 生薑(切) 白朮 茯苓 各二兩 大棗十二枚(擘) 右六味 以水八升 煮取三升.. 2022. 5. 11. 제27조 太陽病에 發熱惡寒 熱多寒少호대 脈微弱者는 此無陽也니 不可發汗이라 宜桂枝二越婢一湯이라 제27조 太陽病에 發熱惡寒 熱多寒少호대 脈微弱者는 此無陽也니 不可發汗이라 宜桂枝二越婢一湯이라 제27조 태양병에 발열오한 열다한소호대 맥미약자는 차무양야니 불가발한이라 의계지이월비탕이라 태양병에 발열, 오한하되 열이 많고 한이 적으며 맥이 미약한 경우는 표실증이 없어진 것이니 다시 땀을 내어서는 안 되고, 계지이월비일탕이 적합하다. 개요 태양병표증(太陽病表證)이 울결(鬱結)되어 열화(熱化) 되었을 때의 증치 桂枝二越婢一湯方(계지이월비일탕방) 桂枝(去皮) 芍藥 麻黃 甘草(炙) 各十八銖 大棗四枚(擘) 生薑一兩二銖(切) 石膏二十四銖(碎, 綿裏) 右七味 以水五升 煮麻黃一二沸 去上沫 內諸藥 煮取二升 去滓 溫服一升. 本云 當裁爲越婢湯桂枝湯合之飮一升 今合爲一方 桂枝湯二分 越婢湯一分. 계지【껍질 제거】 작약 마황 감초【.. 2022. 5. 11.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