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제29조 상한 맥부 자한출 소변삭 심번 미오한 각련급에 반여계지탕하야 욕공기표는 차오야라
상한에 맥이 부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소변이 잦고 가슴이 번거로우며 약간 오한이 나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데, 도리어 계지탕을 주어 그 표를 공격하려 하면 이는 잘못이다.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득지변궐 인중건 번조 구역자는 작감초건강탕하야 여지하야 이복기양하고
복용하고서 손발이 싸늘해지고 목구멍이 마르며 번조하고 구토하며 기가 역상하는 경우 감초건강탕을 지어 주어서 양을 회복시킨다.
若厥愈足溫者는 更作芍藥甘草湯하야 與之하면 其脚卽伸이라
약궐유족온자는 갱작작약감초탕하야 여지하면 기각즉신이라
궐증이 낫고 발이 따뜻해진 경우 다시 작약감초탕을 지어서 주면 다리가 곧 펴진다.
若胃氣不和하야 譫語者는 少與 調胃承氣湯이오
약위기불화하야 섬어자는 소여 조위승기탕이오
만약 위기가 불화하여 헛소리를 하는 경우에는 조위승기탕을 조금씩 복용시킨다.
若重發汗 復加燒鍼者는 四逆湯主之라
약중발한 복가소침자는 사역탕주지라
만약 거듭 발한시키고 또 소침(燒鍼)을 썼다면 사역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개요
상한(傷寒) 음양양허증(陰陽兩虛證)에 계지탕을 오용하여 생긴 모든 변증(變證)의 증치
핵심낱말: 각련급(脚攣急),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甘草乾薑湯方(감초건강탕방)
甘草四兩(炙), 乾薑二兩.
右二味, 以水三升, 煮取一升五合, 去滓, 分溫再服.
감초【4냥, 굽는다】 건강【2냥】
이상 두 가지 약재를 물 3승에 달여 1승 5합을 취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두 차례에 걸쳐 복용한다.
芍藥甘草湯方(작약감초탕방)
白芍藥, 甘草(炙), 各四兩.
右二味, 以水三升, 煮取一升五合, 去滓, 分溫再服.
백작약 감초【굽는다】 【각 4냥】
이상 두 가지 약재를 물 3승에 달여 1승 5합을 취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두 차례에 걸쳐 복용한다.
調胃承氣湯方(조위승기탕방)
甘草二兩(炙), 芒硝半升, 大黃四兩(淸酒洗).
右三味, 切, 以水三升, 煮二物至一升, 去滓, 內芒硝, 更上微火一二沸, 溫頓服之, 以調胃氣.
감초【2냥, 굽는다】 망초【반승】 대황【4냥, 청주로 씻는다】
이상 세 가지 약재를 물 3승에 달여 1승을 취해 찌꺼기를 버리고 망초를 넣고 다시 약한 불에 달여 끓도록 한 것을 조금씩 따뜻하게 복용한다.
四逆湯方(사역탕방)
甘草二兩(炙), 乾薑一兩半, 附子一枚(生用, 去皮, 破八片).
右三味, 以水三升, 煮取一升二合, 去滓, 分溫再服. 强人可大附子一枚, 乾薑三兩.
감초【2냥, 굽는다】 건강【1냥 반】 부자【1개, 날것을 쓴다, 껍질 제거, 여덟 조각으로 쪼갠다】
이상 세 가지 약재를 물 3승에 달여 1승 2합을 취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두 차례 걸쳐 복용한다. 건장한 사람은 부자 큰 것 한 덩어리에 건강 3냥을 쓸 수도 있다.
〔원문〕
29.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 反與桂枝湯 欲攻其表 此誤也.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 作甘草乾薑湯與之 以復其陽. 若厥愈足溫者 更作芍藥甘草湯與之 其脚卽伸. 若胃氣不和譫語者 少與調胃承氣湯. 若重發汗 復加燒鍼者 四逆湯主之.
'[상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0조 問曰 證象陽旦하야 按法治之호대 而增劇하야 厥逆 咽中乾 兩脛拘急 而譫語할새 師曰 言夜半에 手足當溫이오 兩脚當伸이라하샤늘 後如師言하니 何以知此니잇고. (0) | 2022.05.19 |
---|---|
제28조 服桂枝湯하고 或下之한대 仍頭項强痛 翕翕發熱 無汗하고 心下滿微痛 小便不利者는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主之라 (0) | 2022.05.11 |
제27조 太陽病에 發熱惡寒 熱多寒少호대 脈微弱者는 此無陽也니 不可發汗이라 宜桂枝二越婢一湯이라 (0) | 2022.05.11 |
제26조 服桂枝湯하야 大汗出後에 大煩渴不解 脈洪大者는 白虎加人蔘湯主之라 (0) | 2022.05.11 |
제25조 服桂枝湯하고 大汗出 脈洪大者는 與桂枝湯 如前法이오 若形如瘧하야 一日再發者는 汗出必解니 宜桂枝二麻黃一湯이라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