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신(細辛)
세신(細辛) 족도리풀 〔본초학〕 풍을 없애주고, 한을 흩어내며(祛風散寒), 구멍을 통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通竅止痛), 폐를 따뜻하게 하여 수음을 없애준다(溫肺化飮). 〔신농본초경〕 세신은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기침이 치밀어 오르고 머리가 아프며 뇌가 흔들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전신 관절 경련, 풍습으로 저리고 아프거나 죽은 살을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아홉구멍이 좋아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오래 산다. 일명 ‘소신’이라 한다.〔細辛, 味辛, 溫. 主欬逆頭痛腦動, 百節拘攣, 風濕痺痛死肌. 久服明目, 利九竅, 輕身長年. 一名小辛.〕
2022. 5. 17.
망초(芒硝)
망초(芒硝) 〔본초학〕 열을 쏟아내 변을 통하게 하고(瀉熱通便), 마른 것을 적셔주며 굳을 것을 무르게 하며(潤燥軟堅), 화를 식혀 붓기를 가라앉힌다(淸火消腫). 〔신농본초경〕 초석은 맛은 쓰고 기는 차갑다. 오장에 쌓인 열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가 붓고 막힌 상태를 치료하여 나타나는 효능이다. 쌓여서 응결한 음식을 씻어낸다. 이처럼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로운 것을 도달시키며 사기를 없앤다. 고약처럼 단련하여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진다.〔消石, 味苦, 寒. 主五臟積熱, 胃脹閉, 滌去蓄結飮食, 推陳致新, 除邪氣. 鍊之如膏, 久服輕身.〕 〔약징〕 망초는 주로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한다. 그러므로 심하비견(心下痞堅), 심하석경(心下石鞕), 소복급결(少腹急結), 결흉(結胸), 조시(燥屎), 대변경(大便鞕..
2022. 5. 16.
대황(大黃)
대황(大黃) 장군풀의 뿌리줄기 〔본초학〕 열을 쏟아내 장을 통하게 하고(瀉熱通腸), 혈을 식혀 해독하며(凉血解毒), 어혈을 몰아내 경맥을 통하게 한다(逐瘀通經). 〔신농본초경〕 대황은 맛이 쓰고 기는 차갑다. 피가 막혀서 생긴 한열을 치료하고, 징가와 적취를 부순다. 정체한 음과 묵은 음식을 몰아내고, 장위를 씻어내서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로운 것을 도달하게 하다. 수곡을 소통하고 중초를 조절하여 음식을 소화한다. 오장을 안정시킨다.〔大黃, 味苦, 寒. 主下瘀血, 血閉寒熱, 破癥瘕積聚, 留飮宿食, 蕩滌腸胃, 推陳致新, 通利水穀, 調中化食, 安和五臟.〕 〔약징〕 대황은 주로 결독을 통리한다. 그러므로 흉만, 복만, 복통, 변폐, 소변불리를 치료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발황, 어혈, 붓고 화농되는 증상을 치..
2022.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