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역2

생강(生薑) 생강(生薑) 〔본초학〕 생강은 표를 풀어 한사를 흩어내고(解表散寒), 속을 따뜻하게 하여 구역질을 멎게 하며(溫中止嘔), 담을 삭혀 기침을 그치게 하고(化痰止咳), 독을 풀어준다(解毒). 건강(乾薑)은 속을 따뜻하게 하여 한기를 몰아내고(溫中逐寒), 양기를 회복시켜 맥을 통하게 한다(回陽通脈). 〔신농본초경〕 신농본초경에는 건강(乾薑)에 대한 기록에서 "날 것이 더욱 좋다〔生者尤良〕."라고 하였다. 건강은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가슴이 그득하고 기침하며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속을 데우고, 지혈한다. 땀을 내고 풍습으로 생긴 저린 증상을 몰아내고, 곱똥이 나오는 설사를 치료한다. 날 것이 더욱 좋다. 오래 복용하면 냄새를 없애고 신명과 통한다.〔乾薑, 味辛, 溫. 主胸滿欬逆上氣. 溫中, .. 2022. 5. 12.
제3조 太陽病에 或已發熱 或未發熱 必惡寒 體痛嘔逆 脈陰陽俱緊者를 名爲傷寒이라 제3조 太陽病에 或已發熱 或未發熱 必惡寒 體痛嘔逆 脈陰陽俱緊者를 名爲傷寒이라 태양병에 혹이발열 혹미발열 필오한 체통구역 맥음양구긴자를 명위상한이라 태양병에 혹 이미 열이 나든 혹 아직 열이 나지 않든지 간에, 반드시 오한이 있으며 몸이 아프고 구역질이 나며 맥의 음양이 모두 긴한 경우는 이름을 상한이라 한다. 개요 태양상한(太陽傷寒)의 맥증. 핵심낱말: 필오한(必惡寒) 1. 중풍과 상한 비교 중풍(中風) 태양병(공통맥증) 상한(傷寒) 발열(發熱) 혹이발열(或已發熱), 혹미발열(或未發熱) 한출(汗出) 오풍(惡風) 오한(惡寒) 필오한(必惡寒) 맥완자(脈緩者) 맥부(脈浮) 맥음양구긴자(脈陰陽俱緊者) 두항강통(頭項强痛) 체통(體痛) 구역(嘔逆) 2022.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