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초학]

망초(芒硝)

by 상한론 2022. 5. 16.

출처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https://herba.kr/boncho/?m=view&t=pics&id=316)

망초(芒硝)

 

〔본초학〕

열을 쏟아내 변을 통하게 하고(瀉熱通便), 마른 것을 적셔주며 굳을 것을 무르게 하며(潤燥軟堅), 화를 식혀 붓기를 가라앉힌다(淸火消腫).

 

〔신농본초경〕

초석은 맛은 쓰고 기는 차갑다. 오장에 쌓인 열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가 붓고 막힌 상태를 치료하여 나타나는 효능이다. 쌓여서 응결한 음식을 씻어낸다. 이처럼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로운 것을 도달시키며 사기를 없앤다. 고약처럼 단련하여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진다.〔消石, 味苦, 寒. 主五臟積熱, 胃脹閉, 滌去蓄結飮食, 推陳致新, 除邪氣. 鍊之如膏, 久服輕身.〕

 

〔약징〕

망초는 주로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한다. 그러므로 심하비견(心下痞堅), 심하석경(心下石鞕), 소복급결(少腹急結), 결흉(結胸), 조시(燥屎), 대변경(大便鞕)을 치료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숙식, 복만, 소복종비 등 여러 가지 풀기 어려운 독을 치료한다.〔主耎堅也. 故能治心下痞堅. 心下石鞕. 少腹急結. 結胸. 燥屎. 大便鞕. 而旁治宿食. 腹滿. 小腹腫痞之等. 諸般難解之毒也.〕

'[본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신(細辛)  (0) 2022.05.17
대황(大黃)  (0) 2022.05.16
부자(附子)  (0) 2022.05.16
후박(厚朴)  (0) 2022.05.16
행인(杏仁)  (0) 2022.05.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