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작약(芍藥)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본초학〕 혈을 길러 간을 부드럽게 하고(養血柔肝) 속을 느슨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 하고(緩中止痛) 음액을 수렴하여 땀을 멎게 한다(斂陰收汗).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기는 평하다. 사기로 생긴 복통을 치료한다. 혈액순환 장애를 제거하고 딱딱하게 쌓인 적덩어리를 부수고 한열과 산가를 치료한다. 통증을 멎게 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기를 북돋는다.〔芍藥, 味苦, 平. 主邪氣腹痛, 除血痺, 破堅積寒熱疝瘕, 止痛, 利小便, 益氣.〕 2022. 5. 12.
계지(桂枝) 계지(桂枝) 계수나무 가지 〔본초학〕 땀을 내어 기육을 풀고(發汗解肌), 경락을 따뜻하게 하여 혈맥이 통하게 하며(溫經通脈), 양을 도와 기로 바꾼다(助陽化氣). 〔신농본초경〕 모계는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기가 치밀어 올라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기가 응결하고, 목이 막혀 뱉았다 마셨다 할 때 쓴다. 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중초를 보하고 기를 북돋는다. 오래 복용하면 신과 통하고 몸이 가벼워지며 늙지 않는다.〔牡桂, 味辛, 溫, 主上氣咳逆, 結氣, 喉痺吐吸. 利關節, 補中益氣, 久服通神輕身不老.〕 2022. 5. 12.
갈근(葛根) 갈근(葛根) 칡뿌리 〔본초학〕 기육을 풀어서 열이 물러나게 하고(解肌退熱), 진액을 생하게 하며(生津), 발진을 잘 돋게 하고(透疹), 양기를 끌어올려 설사를 멎게 한다(升陽止瀉).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기는 평하다. 소갈을 치료한다. 신체 심한 발열, 구토, 여러 가지 저리고 막힌 증상을 치료한다. 음기를 일으키고 여러 가지 독을 푼다. 깍지는 주로 십년 이상된 하리를 치료한다. 일명 ‘계재근’이라 한다.〔葛根, 味甘, 平, 主消渴, 身大熱, 嘔吐諸痺, 起陰氣, 解諸毒. 葛穀, 主下痢, 十歲以上. 一名雞齊根.〕 2022. 5. 11.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若厥愈足溫者는 更作..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제29조 상한 맥부 자한출 소변삭 심번 미오한 각련급에 반여계지탕하야 욕공기표는 차오야라 상한에 맥이 부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소변이 잦고 가슴이 번거로우며 약간 오한이 나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데, 도리어 계지탕을 주어 그 표를 공격하려 하면 이는 잘못이다.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득지변궐 인중건 번조 구역자는 작감초건강탕하야 여지하야 이복기양하고 복용하고서 손발이 싸늘해지고 목구멍이 마르며 번조하고 구토하며 기가 역상하는 경우 감초건강탕을 지어 주어서 양을 회복시킨다. 若厥愈足溫者는 更作芍藥甘草湯하야 與之하면 其脚卽伸이라 약궐유족온자는 갱작작약감초탕하야 여지하면 기각.. 2022.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