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상한론
검색하기

블로그 홈

상한론

sang-han.tistory.com/m

상한론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제30조 問曰 證象陽旦하야 按法治之호대 而增劇하야 厥逆 咽中乾 兩脛拘急 而譫語할새 師曰 言夜半에 手足當溫이오 兩脚當伸이라하샤늘 後如師言하니 何以知此니잇고. 제30조 問曰 證象陽旦하야 按法治之호대 而增劇하야 厥逆 咽中乾 兩脛拘急 而譫語할새 師曰 言夜半에 手足當溫이오 兩脚當伸이라하샤늘 後如師言하니 何以知此니잇고. 答曰 寸口脈이 浮而大하니 浮爲風이오 大爲虛라 風則生微熱하고 虛則兩脛攣하나니 病形象桂枝이라 因加附子參其間하니 增桂하야 令汗出하고 附子이 溫經 亡陽故也라 厥逆 咽中乾 하니라 陽明內結하면 譫語煩亂하리니 更飮甘草乾薑湯이오 夜半에 陽氣還하면 兩足當熱하나니 脛常微拘急이어든 重與芍藥甘草湯하면 爾乃脛伸이라 以承氣湯으로 微溏하면 則止其譫語라 故로 知病可愈니라 묻기를, 증이 양단(陽旦)과 비슷하여 원칙대로 치료하였는데 더욱 심해져서, 궐역(厥逆)하고 목구멍이 마르며 양 다리가 오그라들고 땅기며 헛소리를 했습니다. 선생님께서 한밤중이 되면 손발이 따뜻해지고 두 다리가 펴..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9.
  • 세신(細辛) 세신(細辛) 족도리풀 〔본초학〕 풍을 없애주고, 한을 흩어내며(祛風散寒), 구멍을 통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通竅止痛), 폐를 따뜻하게 하여 수음을 없애준다(溫肺化飮). 〔신농본초경〕 세신은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기침이 치밀어 오르고 머리가 아프며 뇌가 흔들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전신 관절 경련, 풍습으로 저리고 아프거나 죽은 살을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아홉구멍이 좋아지고, 몸이 가벼워지며 오래 산다. 일명 ‘소신’이라 한다.〔細辛, 味辛, 溫. 主欬逆頭痛腦動, 百節拘攣, 風濕痺痛死肌. 久服明目, 利九竅, 輕身長年. 一名小辛.〕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5. 17.
  • 망초(芒硝) 망초(芒硝) 〔본초학〕 열을 쏟아내 변을 통하게 하고(瀉熱通便), 마른 것을 적셔주며 굳을 것을 무르게 하며(潤燥軟堅), 화를 식혀 붓기를 가라앉힌다(淸火消腫). 〔신농본초경〕 초석은 맛은 쓰고 기는 차갑다. 오장에 쌓인 열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위가 붓고 막힌 상태를 치료하여 나타나는 효능이다. 쌓여서 응결한 음식을 씻어낸다. 이처럼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로운 것을 도달시키며 사기를 없앤다. 고약처럼 단련하여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진다.〔消石, 味苦, 寒. 主五臟積熱, 胃脹閉, 滌去蓄結飮食, 推陳致新, 除邪氣. 鍊之如膏, 久服輕身.〕 〔약징〕 망초는 주로 굳은 것을 부드럽게 한다. 그러므로 심하비견(心下痞堅), 심하석경(心下石鞕), 소복급결(少腹急結), 결흉(結胸), 조시(燥屎), 대변경(大便鞕..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5. 16.
  • 대황(大黃) 대황(大黃) 장군풀의 뿌리줄기 〔본초학〕 열을 쏟아내 장을 통하게 하고(瀉熱通腸), 혈을 식혀 해독하며(凉血解毒), 어혈을 몰아내 경맥을 통하게 한다(逐瘀通經). 〔신농본초경〕 대황은 맛이 쓰고 기는 차갑다. 피가 막혀서 생긴 한열을 치료하고, 징가와 적취를 부순다. 정체한 음과 묵은 음식을 몰아내고, 장위를 씻어내서 묵은 것을 몰아내고 새로운 것을 도달하게 하다. 수곡을 소통하고 중초를 조절하여 음식을 소화한다. 오장을 안정시킨다.〔大黃, 味苦, 寒. 主下瘀血, 血閉寒熱, 破癥瘕積聚, 留飮宿食, 蕩滌腸胃, 推陳致新, 通利水穀, 調中化食, 安和五臟.〕 〔약징〕 대황은 주로 결독을 통리한다. 그러므로 흉만, 복만, 복통, 변폐, 소변불리를 치료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발황, 어혈, 붓고 화농되는 증상을 치..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6.
  • 부자(附子) 부자(附子) 투구꽃(바곳)의 작은 덩이뿌리 〔본초학〕 양기를 다시 회복시키고 화를 더해주며(回陽補火), 한기를 흩어내고 습기를 제거한다(散寒除濕). 〔신농본초경〕 부자는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풍한으로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밀어 오르는 것과 사기를 치료한다. 속을 데운다. 외상을 치료한다. 딱딱한 적덩어리와 피덩어리를 부순다. 차가운 습기로 유발된 앉은뱅이, 근육 수축과 경련, 무릎 통증을 치료한다.〔附子, 味辛, 溫. 主風寒欬逆邪氣, 溫中, 金瘡, 破癥堅積聚, 血瘕, 寒濕踒躄, 拘攣膝痛.〕 〔약징〕 부자는 축수(逐水)를 주로 한다. 그러므로 오한하고 신체, 사지, 뼈마디에 동통이 있으면서 무겁거나, 불인하거나 궐랭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복통, 실정, 설사를 치료한다.〔主逐水也. 故能治..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6.
  • 후박(厚朴) 후박(厚朴) 〔본초학〕 습을 말리고, 담을 삭히며(燥濕消痰), 기를 내려 그득함을 없애준다(下氣除滿). 〔신농본초경〕 후박은 맛은 쓰고 기는 따뜻하다. 중풍과 상한으로 발생한 두통과 한열을 다스린다. 경계증, 기혈 순환부전, 죽은 살을 치료하고, 3가지 벌레를 없앤다.〔厚朴, 味苦, 溫. 主中風傷寒頭痛寒熱, 驚悸, 氣血痺, 死肌, 去三蟲.〕 〔약징〕 후박은 흉복의 창만을 주로 치료한다. 부수적으로 복통을 치료한다.〔主治胸腹脹滿也. 旁治腹痛.〕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6.
  • 행인(杏仁) 행인(杏仁) 살구씨 〔본초학〕 행인은 기가 치밀어 올라 기침하고 숨이 가쁜 것을 내려주며(降氣止咳平喘), 장을 적셔 변을 통하게 한다(潤腸通便). 〔신농본초경〕 행핵인은 맛은 달고 기는 따뜻하다. 기가 치밀어 올라 기침하며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소리가 나고 목구멍이 막히는 것을 치료하고 기를 내린다. 젖을 나오게 하고, 쇠붙이에 상한 것, 냉심통, 분돈을 치료한다.〔杏核仁, 味甘, 溫. 主欬逆上氣, 雷鳴喉痺, 下氣, 産乳, 金瘡, 寒心, 奔豚.〕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4.
  • 건강(乾薑) 건강(乾薑) 말린 생강 〔본초학〕 속을 따뜻하게 하여 한기를 몰아내고(溫中逐寒), 양기를 회복시켜 맥을 통하게 한다(回陽通脈). 〔신농본초경〕 건강은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가슴이 그득하고 기침하며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속을 데우고, 지혈한다. 땀을 내고 풍습으로 생긴 저린 증상을 몰아내고, 곱똥이 나오는 설사를 치료한다. 날 것이 더욱 좋다. 오래 복용하면 냄새를 없애고 신명과 통한다.〔乾薑, 味辛, 溫. 主胸滿欬逆上氣. 溫中, 止血, 出汗, 逐風濕痺, 腸澼下痢. 生者尤良. 久服去臭氣, 通神明.〕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4.
  • 마황(麻黃) 마황(麻黃) 〔본초학〕 땀을 내어 한사를 흩어내고(發汗散寒), 폐기를 펴서 숨이 가쁜 증상을 멎게 하고(宣肺平喘), 소변을 내어 붓기를 없앤다(利水消腫). 〔신농본초경〕 마황은 맛이 쓰고 기가 따뜻하다. 중풍, 상한, 두통, 온학을 치료한다. 체표로 발산하여 땀을 낸다. 사기와 열기를 없애고 치밀어 오르는 기침을 멈춘다. 한열을 없애고, 내부 혹 덩어리를 부순다. 일명 ‘용사’라 한다.〔麻黃, 味苦, 溫. 主中風傷寒, 頭痛, 溫瘧, 發表出汗, 去邪熱氣, 止欬逆, 上氣, 除寒熱, 破癥堅積聚. 一名龍沙.〕 〔약징〕 마황은 숨이 차고 기침하는 증상과 수기(水氣)를 주로 치료한다. 부수적으로 오풍, 오한, 무한, 신동, 골절통, 온몸이 누렇게 되고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主治喘咳水氣也. 旁治惡風. 惡寒. 無汗...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2.
  • 대조(大棗) 대조(大棗) 대추 〔본초학〕 비를 돕고 위를 조화롭게 하며(補脾和胃), 기운을 더하고 진액을 생기게 하며(益氣生津), 영위를 조화롭게 하고(調營衛), 약의 독을 풀어준다(解藥毒). 〔신농본초경〕 대추는 심복의 사기를 치료하고 중초를 안정시키고 비장을 기른다. 십이경을 돕고 위기를 고르게 하며 아홉 구멍을 소통한다. 기운이 적고 진액이 적은 것을 보한다. 몸속이 부족하여 크게 놀라고 사지가 무거운 것을 치료한다. 백가지 약을 조화한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잎으로 마황을 덮으면 땀이 나온다. 〔大棗, 主心腹邪氣, 安中養脾, 助十二經, 平胃氣, 通九竅, 補少氣少津液, 身中不足, 大驚, 四肢重, 和百藥. 久服, 輕身長年. 葉覆麻黃, 能令出汗.〕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5. 12.
  • 생강(生薑) 생강(生薑) 〔본초학〕 생강은 표를 풀어 한사를 흩어내고(解表散寒), 속을 따뜻하게 하여 구역질을 멎게 하며(溫中止嘔), 담을 삭혀 기침을 그치게 하고(化痰止咳), 독을 풀어준다(解毒). 건강(乾薑)은 속을 따뜻하게 하여 한기를 몰아내고(溫中逐寒), 양기를 회복시켜 맥을 통하게 한다(回陽通脈). 〔신농본초경〕 신농본초경에는 건강(乾薑)에 대한 기록에서 "날 것이 더욱 좋다〔生者尤良〕."라고 하였다. 건강은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가슴이 그득하고 기침하며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속을 데우고, 지혈한다. 땀을 내고 풍습으로 생긴 저린 증상을 몰아내고, 곱똥이 나오는 설사를 치료한다. 날 것이 더욱 좋다. 오래 복용하면 냄새를 없애고 신명과 통한다.〔乾薑, 味辛, 溫. 主胸滿欬逆上氣. 溫中,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2.
  • 감초(甘草) 감초(甘草) 〔본초학〕 중초를 조화롭게 하여 급박한 것을 완화시키고(和中緩急), 폐를 적셔주며(潤肺), 독을 풀어주고(解毒), 모든 약을 조화롭게 한다(調和諸藥).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기는 평하다. 오장육부의 한열과 사기를 치료한다. 근골을 강화하고 기육을 기르며 힘을 키운다. 외상으로 생긴 종기를 치료하고 해독한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산다.〔甘草, 味甘, 平. 主五臟六腑寒熱邪氣, 堅筋骨, 長肌肉, 倍力, 金瘡腫, 解毒. 久服輕身延年.〕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2.
  • 작약(芍藥)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본초학〕 혈을 길러 간을 부드럽게 하고(養血柔肝) 속을 느슨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 하고(緩中止痛) 음액을 수렴하여 땀을 멎게 한다(斂陰收汗).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기는 평하다. 사기로 생긴 복통을 치료한다. 혈액순환 장애를 제거하고 딱딱하게 쌓인 적덩어리를 부수고 한열과 산가를 치료한다. 통증을 멎게 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기를 북돋는다.〔芍藥, 味苦, 平. 主邪氣腹痛, 除血痺, 破堅積寒熱疝瘕, 止痛, 利小便, 益氣.〕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2.
  • 계지(桂枝) 계지(桂枝) 계수나무 가지 〔본초학〕 땀을 내어 기육을 풀고(發汗解肌), 경락을 따뜻하게 하여 혈맥이 통하게 하며(溫經通脈), 양을 도와 기로 바꾼다(助陽化氣). 〔신농본초경〕 모계는 맛은 맵고 기는 따뜻하다. 기가 치밀어 올라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기가 응결하고, 목이 막혀 뱉았다 마셨다 할 때 쓴다. 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중초를 보하고 기를 북돋는다. 오래 복용하면 신과 통하고 몸이 가벼워지며 늙지 않는다.〔牡桂, 味辛, 溫, 主上氣咳逆, 結氣, 喉痺吐吸. 利關節, 補中益氣, 久服通神輕身不老.〕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5. 12.
  • 갈근(葛根) 갈근(葛根) 칡뿌리 〔본초학〕 기육을 풀어서 열이 물러나게 하고(解肌退熱), 진액을 생하게 하며(生津), 발진을 잘 돋게 하고(透疹), 양기를 끌어올려 설사를 멎게 한다(升陽止瀉).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기는 평하다. 소갈을 치료한다. 신체 심한 발열, 구토, 여러 가지 저리고 막힌 증상을 치료한다. 음기를 일으키고 여러 가지 독을 푼다. 깍지는 주로 십년 이상된 하리를 치료한다. 일명 ‘계재근’이라 한다.〔葛根, 味甘, 平, 主消渴, 身大熱, 嘔吐諸痺, 起陰氣, 解諸毒. 葛穀, 主下痢, 十歲以上. 一名雞齊根.〕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若厥愈足溫者는 更作.. 제29조 傷寒 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 微惡寒 脚攣急에 反與桂枝湯하야 欲攻其表는 此誤也라 제29조 상한 맥부 자한출 소변삭 심번 미오한 각련급에 반여계지탕하야 욕공기표는 차오야라 상한에 맥이 부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소변이 잦고 가슴이 번거로우며 약간 오한이 나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는데, 도리어 계지탕을 주어 그 표를 공격하려 하면 이는 잘못이다. 得之便厥 咽中乾 煩躁 嘔逆者는 作甘草乾薑湯하야 與之하야 以復其陽하고 득지변궐 인중건 번조 구역자는 작감초건강탕하야 여지하야 이복기양하고 복용하고서 손발이 싸늘해지고 목구멍이 마르며 번조하고 구토하며 기가 역상하는 경우 감초건강탕을 지어 주어서 양을 회복시킨다. 若厥愈足溫者는 更作芍藥甘草湯하야 與之하면 其脚卽伸이라 약궐유족온자는 갱작작약감초탕하야 여지하면 기각..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8조 服桂枝湯하고 或下之한대 仍頭項强痛 翕翕發熱 無汗하고 心下滿微痛 小便不利者는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主之라 제28조 服桂枝湯하고 或下之한대 仍頭項强痛 翕翕發熱 無汗하고 心下滿微痛 小便不利者는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主之라 제28조 복계지탕하고 혹하지한대 잉두항강통 흡흡발열 무한하고 심하만미통 소변불리자는 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주지라 계지탕을 복용하거나 하법(下法)을 쓴 후에 여전히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하고 아프며 후끈후끈 열이 나는데 땀은 없고, 심하(心下)가 그득하면서 약간 아프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계지탕에서 계지를 빼고 복령, 백출을 더한 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개요 수음(水飮)이 조체(阻滯)된 경우에 잘못 한하(汗下)하여 진액(津液)을 손상시켰을 때의 올바른 치법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方(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방) 芍藥三兩 甘草二兩(炙) 生薑(切) 白朮 茯苓 各二兩 大棗十二枚(擘) 右六味 以水八升 煮取三升..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7조 太陽病에 發熱惡寒 熱多寒少호대 脈微弱者는 此無陽也니 不可發汗이라 宜桂枝二越婢一湯이라 제27조 太陽病에 發熱惡寒 熱多寒少호대 脈微弱者는 此無陽也니 不可發汗이라 宜桂枝二越婢一湯이라 제27조 태양병에 발열오한 열다한소호대 맥미약자는 차무양야니 불가발한이라 의계지이월비탕이라 태양병에 발열, 오한하되 열이 많고 한이 적으며 맥이 미약한 경우는 표실증이 없어진 것이니 다시 땀을 내어서는 안 되고, 계지이월비일탕이 적합하다. 개요 태양병표증(太陽病表證)이 울결(鬱結)되어 열화(熱化) 되었을 때의 증치 桂枝二越婢一湯方(계지이월비일탕방) 桂枝(去皮) 芍藥 麻黃 甘草(炙) 各十八銖 大棗四枚(擘) 生薑一兩二銖(切) 石膏二十四銖(碎, 綿裏) 右七味 以水五升 煮麻黃一二沸 去上沫 內諸藥 煮取二升 去滓 溫服一升. 本云 當裁爲越婢湯桂枝湯合之飮一升 今合爲一方 桂枝湯二分 越婢湯一分. 계지【껍질 제거】 작약 마황 감초【..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6조 服桂枝湯하야 大汗出後에 大煩渴不解 脈洪大者는 白虎加人蔘湯主之라 제26조 服桂枝湯하야 大汗出後에 大煩渴不解 脈洪大者는 白虎加人蔘湯主之라 제26조 복계지탕하야 대한출후에 대번갈불해 맥홍대자는 백호가인삼탕주지라 계지탕을 복용하고 크게 땀이 난 후 몹시 번조하고 목마른 것이 풀리지 않으며 맥이 홍대(洪大)한 경우에는 백호가인삼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개요 계지탕을 복용한 후 대한(大汗)으로 상진화열(傷津化熱)한 경우의 증치 白虎加人蔘湯方(백호가인삼탕방) 知母六兩 石膏一斤(碎, 綿裏) 甘草二兩(炙) 粳米六合 人蔘三兩 右五味 以水一斗 煮米熟湯成 去滓 溫服一升 日三服. 이상 5가지 약재를 물 1두에 달이는데, 갱미가 익어서 탕이 되면 찌꺼기를 걸러 버리고 따뜻하게 1승씩 하루 세 번 복용한다. 핵심낱말: 대한출(大汗出), 대번갈불해(大煩渴不解), 맥홍대(脈洪大) 〔원문〕 26.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5조 服桂枝湯하고 大汗出 脈洪大者는 與桂枝湯 如前法이오 若形如瘧하야 一日再發者는 汗出必解니 宜桂枝二麻黃一湯이라 제25조 服桂枝湯하고 大汗出 脈洪大者는 與桂枝湯 如前法이오 若形如瘧하야 一日再發者는 汗出必解니 宜桂枝二麻黃一湯이라 제25조 복계지탕하고 대한출 맥홍대자는 여계지탕 여전법이오 약형여학하야 일일재발자는 한출필해니 의계지이마황일탕이라 계지탕을 복용하고 크게 땀이 나며 맥이 홍대(洪大)한 경우에는 계지탕을 앞의 방법대로 준다. 만약 형상이 학질과 같고 하루에 두 번 발작하는 경우에는 땀이 나면 반드시 풀릴 것이니 계지이마황일탕이 적합하다. 桂枝二麻黃一湯方(계지이마황일탕방) 桂枝一兩十七銖(去皮) 芍藥一兩六銖 麻黃十六銖(去節) 生薑一兩六銖(切) 杏仁十六枚(去皮尖) 甘草一兩二銖(炙) 大棗五枚(擘) 右七味 以水五升 先煮麻黃一二沸 去上沫 內諸藥 煮取二升 去滓 溫服一升 日再服. 本云桂枝湯二分 麻黃湯一分 合爲二升 分再服.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4조 太陽病에 初服桂枝湯한대 反煩不解者는 先刺風池風府하고 却與桂枝湯則愈라 제24조 太陽病에 初服桂枝湯한대 反煩不解者는 先刺風池風府하고 却與桂枝湯則愈라 제24조 태양병에 초복계지탕한대 반번불해자는 선자풍지풍부하고 각여계지탕즉유라 태양병에 처음 계지탕을 복용하고 도리어 번(煩)하여 풀리지 않는 경우 먼저 풍지와 풍부에 자침하고 계지탕을 다시 주면 낫는다. 개요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의 병세가 비교적 심할 때는 먼저 침법으로 사기를 설(泄)함. 桂枝湯方(계지탕방) 桂枝三兩去皮 芍藥三兩 甘草炙二兩 生薑三兩切 大棗十二枚擘 右五味를 㕮咀三味하야 以水七升으로 微火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適寒溫하야 服一升이라 服已須臾에 歠熱稀粥一升餘하야 以助藥力하고 溫覆令一時許하야 不可令如水流漓니 病必不除일세니라 若一服에 汗出하야 病差어든 停後服이오 不必盡劑어니와 若不汗이어든 更服호대 依前法이오 又不汗이어든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3조 太陽病 得之八九日에 如瘧狀하야 發熱惡寒 熱多寒少 其人不嘔 淸便欲自可 一日二三度發호대 脈微緩者는 爲欲愈也오 脈微而惡寒者는 此陰陽俱虛니 不可更發汗 更下 更吐也오 面色 反.. 제23조 太陽病 得之八九日에 如瘧狀하야 發熱惡寒 熱多寒少 其人不嘔 淸便欲自可 一日二三度發호대 제23조 태양병 득지팔구일에 여학상하야 발열오한 열다한소 기인불구 청변욕자가 일일이삼도발호대 태양병을 얻은 지 8~9일에 학질의 양상과 같이 발열, 오한하되 열이 많고 한이 적으며, 환자가 구역질을 하지 않고 대변이 잘 나오며, 하루 2~3번 발작하는데, 脈微緩者는 爲欲愈也오 맥미완자는 위욕유야오 맥이 약간 완(微緩)한 경우는 나으려는 것이다. 脈微而惡寒者는 此陰陽俱虛니 不可更發汗 更下 更吐也오 맥미이오한자는 차음양구허니 불가갱발한 갱하 갱토야오 맥이 미(微)하고 오한이 나면 이는 음양이 모두 허한 것이다. 다시 발한 시키거나 하법, 토법을 써서는 안 된다. 面色 反有熱色者는 未欲解也니 以其不能得小汗出하야 身必痒..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1.
  • 제22조 若微惡寒者는 桂枝去芍藥加附子湯主之라 제22조 若微惡寒者는 桂枝去芍藥加附子湯主之라 약미오한자는 계지거작약가부자탕주지라 만약 약간 찬 기운이 있다면 계지거작약가부자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桂枝去芍藥加附子湯方(계지거작약가부자탕방) 桂枝三兩(去皮) 甘草二兩(炙) 生薑三兩(切) 大棗十二枚(擘) 附子一枚(炮, 去皮, 破八片) 右五味 以水七升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本云桂枝湯 今去芍藥加附子 將息如前法. 계지【3냥, 껍질 제거】 감초【2냥, 굽는다】 생강【3냥, 저민다】 대조【12개, 쪼갠다】 부자【1개, 잿불에 묻어 구운 것을 껍질을 제거하고 여덟 조각으로 쪼갠다】 이상 다섯 가지 약재를 물 7승에 달여 3승을 취해 찌꺼기를 빼고 따뜻하게 1승씩 복용한다. 본래는 말하기를 계지탕에서 작약을 빼고 부자를 가한 것으로, 나머지는 앞에서의 방법과 같다. 개..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제21조 太陽病 下之後에 脈促胸滿者는 桂枝去芍藥湯主之라 제21조 太陽病 下之後에 脈促胸滿者는 桂枝去芍藥湯主之라 태양병 하지후에 맥촉흉만자는 계지거작약탕주지라 태양병에 사하(瀉下)한 후 맥이 촉(促)하고 가슴이 그득한 경우에 계지거작약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桂枝去芍藥湯方(계지거작약탕방) 桂枝三兩(去皮) 甘草二兩(炙) 生薑三兩(切) 大棗十二枚(擘) 右四味 以水七升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本云桂枝湯 今去芍藥 將息如前法. 계지【3냥, 껍질 제거】 감초【2냥, 굽는다】 생강【3냥, 저민다】 대조【12개, 쪼갠다】 이상 네 가지 약재를 물 7승으로 달여 3승을 취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1승씩 복용한다. 본래의 계지탕에서 작약을 뺀 것으로 조리는 앞에서의 방법과 같다. 개요 태양병을 하(下)한 후에 흉양(胸陽)이 막힌 경우의 증치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제20조 太陽病에 發汗한대 遂漏不止하야 其人惡風 小便難 四肢微急 難以屈伸者는 桂枝加附子湯主之라 제20조 太陽病에 發汗한대 遂漏不止하야 其人惡風 小便難 四肢微急 難以屈伸者는 桂枝加附子湯主之라 태양병에 발한한대 수루부지하야 기인오풍 소변난 사지미급 난이굴신자는 계지가부자탕주지라 태양병에 땀을 냈는데 그치지 않고 줄줄 흐르며, 환자가 바람을 싫어하고 소변보기가 어려우며, 팔다리가 약간 땅겨 굴신(屈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계지가부자탕으로 주로 치료한다. 桂枝加附子湯方(계지가부자탕방) 桂枝三兩(去皮) 芍藥三兩 甘草三兩(炙) 生薑三兩(切) 大棗十二枚(擘) 附子一枚(炮, 去皮, 破八片) 右六味 以水七升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本云桂枝湯 今加附子 將息如前法. 계지【3냥, 껍질 제거】 작약【3냥】 감초【3냥, 굽는다】 생강【3냥, 저민다】 대조【12개, 쪼갠다】 부자【1개, 잿불에 묻어 구워서 껍질을 제거하고..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5. 10.
  • 제19조 凡服桂枝湯하야 吐者는 其後必吐膿血也라 제19조 凡服桂枝湯하야 吐者는 其後必吐膿血也라 범복게지탕하야 토자는 기후필토농혈야라 무릇 계지탕을 복용하고 토한 경우, 그 후에 반드시 농혈(膿血)을 토하게 된다. 개요 리(裏)에 온열(蘊熱)이 있을 경우 계지탕을 금함.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제18조 喘家는 作桂枝湯호대 加厚朴杏子이 佳라 제18조 喘家는 作桂枝湯호대 加厚朴杏子이 佳라 천가는 작계지탕호대 가후박행자이 가라 평소 천(喘)이 있는 사람에게 계지탕을 지어줄 때는 후박, 행자를 넣는 것이 좋다. 개요 태양중풍(太陽中風)이 천질(喘疾)을 유발시킬 때의 치법.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제17조 若酒客病은 不可與桂枝湯이라 得之則嘔하나니 以酒客不喜甘故也라 제17조 若酒客病은 不可與桂枝湯이라 得之則嘔하나니 以酒客不喜甘故也라 약주객병은 불가여계지탕이라 득지즉구하나니 이주객불희감고야라 술 좋아하는 사람의 병에는 계지탕을 줄 수 없다. 계지탕을 복용하면 구토를 하니, 주객은 단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개요 주객의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에는 계지탕을 금함.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제16조 太陽病三日에 已發汗하고 若吐 若下 若溫針하야 仍不解者는 此爲壞病이니 桂枝不中與之也라 제16조 太陽病三日에 已發汗하고 若吐 若下 若溫針하야 仍不解者는 此爲壞病이니 桂枝不中與之也라 태양병삼일에 이발한하고 약토 약하 약온침하야 잉불해자는 차위괴병이니 계지부중여지라 觀其脈證하고 知犯何逆하야 隨證治之라 관기맥증하고 지범하역하야 수증치지라 桂枝는 本爲解肌니 若其人이 脈浮緊 發熱 汗不出者는 不可與之也라 常須識此하야 勿令誤也라 계지는 본위해기니 약기인이 맥부긴 발열 한불출자는 불가여지라 상수지차하야 물령오야라 태양병 3일에 이미 발한(發汗)시키거나 토법(吐法), 하법(下法), 온침(溫針)을 썼는데도 여전히 풀리지 않는 경우는 괴병(壞病)이 된 것이니, 계지탕을 주는 것은 맞지 않다. 그 맥과 증을 보고 무슨 잘못을 범했는지 알아서, 증에 따라 다스린다. 계지탕은 본래 해기(解肌)하는데, 만약 환자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5. 10.
  • 제15조 太陽病 下之後에 其氣上衝者는 可與桂枝湯호대 方用前法이오 若不上衝者는 不得與之라 제15조 太陽病 下之後에 其氣上衝者는 可與桂枝湯호대 方用前法이오 若不上衝者는 不得與之라 태양병 하지후에 기기상충자는 가여계지탕호대 방용전법이오 약불상충자는 부득여지라 태양병에 하법을 쓴 후 기가 상충하는 경우 계지탕을 줄 수 있으며, 앞의 방법 그대로 한다. 상충하지 않으면 줄 수 없다. 개요 태양병을 잘못 사하(瀉下)시킨 후, 표사(表邪)가 아직 내함(內陷)하지 않은 경우 계지탕을 사용하여 치료함. 핵심낱말: 기상충(氣上衝) 桂枝湯方(계지탕방) 桂枝三兩去皮 芍藥三兩 甘草炙二兩 生薑三兩切 大棗十二枚擘 右五味를 㕮咀三味하야 以水七升으로 微火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適寒溫하야 服一升이라 服已須臾에 歠熱稀粥一升餘하야 以助藥力하고 溫覆令一時許하야 不可令如水流漓니 病必不除일세니라 若一服에 汗出하야 病差어든 停後服이오..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5. 10.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