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론]

제6조 太陽病에 發熱而渴하며 不惡寒者는 爲溫病이라 若發汗已 身灼熱者를 名曰風溫이라 風溫爲病은 脈陰陽俱浮 自汗出 身重 多眠睡 鼻息必鼾 語言難出이니 若被下者는 小便不利 直視失溲..

상한론 2022. 5. 9. 21:18

제6조 太陽病에 發熱而渴하며 不惡寒者는 爲溫病이라

         태양병에 발열이갈하며 불오한자는 위온병이라

 

若發汗已 身灼熱者를 名曰風溫이라

약발한이 신작열자를 명왈풍온이라

 

風溫爲病은 脈陰陽俱浮 自汗出 身重 多眠睡 鼻息必鼾 語言難出이니

풍온위병은 맥음양구부 자한출 신중 다면수 비식필한 어언난출이니

 

若被下者는 小便不利 直視失溲하고

약피하자는 소변불리 직시실수하고

 

若被火者는 微하면 發黃色이오 劇則如驚癎하며 時瘈瘲하고

약피화자는 미하면 발황색이오 극즉여경간하며 시계종하고

 

若火熏之면 一逆에 尙引日이오 再逆에 促命期라

약화훈지면 일역에 상인일이오 재역에 촉명기라

 

 

 

태양병에 열이 나며 갈증이 나고 오한이 없는 것는 것은 온병(溫病)이다. 만약에 땀을 내고 나서 몸에 지지는 듯 심한 열이 나는 경우는 풍온(風溫)이라 한다. 풍온의 병 됨은 음양이 모두 부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몸이 무겁고, 잠이 많아지고 숨쉴 때 코고는 소리가 나며 말하는 것이 곤란하다. 만약 하법(下法)을 잘못 쓰면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직시하며 소변을 흘리기도 한다. 화법을 잘못 쓰면 피부가 조금 누렇게 되고 심하면 경간(驚癎)과 같이 때때로 손발에 경련이 일어난다. 화훈법(火熏法)을 쓴 경우, 한번 잘못하면 시일을 끌지만 거듭 잘못하면, 수명을 재촉하게 된다.

 

개요

태양온병의 변증요점과 잘못하여 한(汗), 하(下), 화법(火法)을 쓸 경우의 변증(變證)

 

1. 온병(溫病)의 주요 특징

발열이갈(發熱而渴)

②불오한(不惡寒)

 

2. 풍온(風溫)의 맥과 증

①신작열자(身灼熱者)

②맥음양구부(脈陰陽俱浮)

③자한출(自汗出)

④신중(身重)

⑤다면수(多眠睡)

⑥비식필한(鼻息必鼾)

⑦어언난출(語言難出)

 

3. 태양병 중풍, 상한, 온병 감별표

증후분류 맥상 증상 주요감별
중풍
中風
부완
浮緩
발열, 오풍, 한출 혹 비명건구
發熱, 惡風, 汗出 或 鼻鳴乾嘔
맥부완, 유한
脈浮緩, 有汗 
상한
傷寒
부긴
浮緊
발열, 오한, 무한이천, 체통, 구역
發熱, 惡寒, 無汗而喘, 體痛, 嘔逆
맥부긴, 무한
脈浮緊, 無汗
온병
溫病
부삭
浮數
발열이갈, 불오한
發熱而渴, 不惡寒
구갈, 불오한
口渴, 不惡寒